요즘 Terminal에 대해서 사용을 많이 하다 보니
사용하고자 하는 명령어들이 많이 늘어난 것 같다.
그래서 이번에는 Terminal과 관련된 명령어와 알야야 되는 것들에 대해서 정리해본다.
Terminal ✔
Terminal이란 Command lines or consoles로 알려진 터미널을 사용하면 별도의 작업 없이 컴퓨터에서 작업을 수행하고 자동화할 수가 있다. Terminal은 컴퓨터와 다른 장치 또는 시스템 간의 통신을 담당하는 인터페이스를 의미합니다.
주로 Windows OS에서 주로 사용하지만 Mac OS에서도 사용을 많이 하는 추세이다.
Winodws OS에서는 시작 프로그램을 누르고 CMD에서 들어가거나 윈도우 검색 창에 'cmd'를 입력하고 진행을 한다.
그리고, Mac OS에서는 command+space누르고 터미널 입력하고 실행하면 된다.
초반에는 경로를 들어가는 작업에 대해서 많이 하기 때문에 관련 명령어를 아는 것이 중요하다.
※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 [cd] 💎
'cd'는 'change directory'의 약어로 터미널에서 작업중인 디렉토리 즉, 폴더를 변경하는 명령어이다.
▣ 옵션
□ cd [엔터], cd ~, cd ~/, cd$HOME :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 cd. : 현재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 cd / : 최상위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 cd $변수명 : 변수에 지정된 경로로 이동한다.
□ cd ~계정명 : 입력한 사용자의 홈디렉토리로 이동한다.
□ cd - : 이전 경로로 이동한다.
※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 [ls] 🧢
'ls'는 'list'의 약어로, 터미널에서 현재 디렉토리(폴더)에 있는 파일과 폴더를 나열하는 명령어이다.
'cd'와 'ls' 거의 같이 사용한다고 보면 된다.
▣ 옵션
□ -a :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들(.으로 시작하는 파일 포함)을 출력한다.
□ -i : 파일의 아이노드(inode, 색인번호)) 번호를 출력한다.
□ -h : 파일 크기를 사람이 보기 쉬운 단위로 출력한다. (k: 킬로바이트, m: 메가바이트)
□ -l : 파일의 다양한 정보(상세정보)를 함께 출력한다.(소유자, 권한, 크기, 날짜)
□ -m : 파일을 쉼표로 구분하여 가로로 출력한다.
□ -s : kb 단위의 파일 크기를 출력한다.
□ -t : 최근 생성된 시간 순으로 파일을 출력한다.
□ -F : 파일 종류 별로 파일 끝에 특수 문자 표시.(일반파일 : 표시없음, 실행파일 : *, 디렉토리 : /, 심볼링크 : @,
FIFO파일 : l, 소켓파일 : =)
ㅁ -R : 지정한 디렉토리 알래에 있는 하위 디렉토리와 파일들을 포함하여 출력한다.
□ -S : 파일 크기가 큰 순서대로 출력한다.
□ --help : 도움말을 출력한다.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 [d: or c:] 🎈
'd:'나 'c:'는 컴퓨터에 드라이브를 이야기하는 것인데 저장된 위치가 상이할 수도 있기 때문에 잘 확인해서
맞는 디스크를 선택하면 된다.
굉장히 기본적인 명령어들이지만 차근차근 익숙해지고 기본을 잘 알아야지 잘 할수있다는 것은 공유되어 있는 소스 코드를 사용해보면서 더욱 크게 느끼게 되었다. 기본적인 것들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게 되었다.
Terminal의 종류 👍
대표적으로 'cmd'도 많이 사용하지만 리눅스로 사용을 많이 하기 때문에 그와 관련된 필요한 프로그램들이 있다.
◈ MobaXterm
Windows 운영 체제에서 실행되는 강력한 터미널 에뮬레이터 및 SSH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이다.
MobaXterm을 사용하면 터미널 기반의 명령 줄 인터페이스를 통해서 원격 서버에 접속하기도 하고, 파일 전송, X11 포워당, VNC 연결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다.
▶ The bottom MobaXterm download link
https://mobaxterm.mobatek.net/download.html
MobaXterm free Xserver and tabbed SSH client for Windows
The ultimate toolbox for remote computing - includes X server, enhanced SSH client and much more!
mobaxterm.mobatek.net
◈ Xshell
Windows 운영체제에서 실행되는 강력한 터미널 에뮬레이터 및 SSH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이다. Xshell을 사용하면 원격 서버에 안전하게 연겨랗고 명령 줄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와 상호 작용할 수가 있다.
저는 사용해본 적은 없지만 다른 Tool과 어떠한 점이 다른지 한번 확인하고 싶은 생각이 있다.
▶ The bottom Xshell download link
https://www.netsarang.com/ko/free-for-home-school/
무료 라이선스 - NetSarang Website
무료 라이선스 무료 사용자의 최고의 선택 ㈜넷사랑컴퓨터는 강력한 SSH와 SFTP/FTP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지난 10년간 무료로 배포해온 것에 대해 자부심을 느낍니다. 저희 무료 라이선스는 단지
www.netsarang.com
◈ PuTTY
Windows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무료로 제공되는 터미널 에뮬레이터 및 SSH 클라이언트 소프트웨어이다.
PuTTY를 사용하면 SSH, Telnet, Rlogin, SCP, Serial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원격 서버에 연결하고 명령 줄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버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PuTTY
PuTTY - 개발자에게 꼭 필요한 도구
putty.softonic.kr
◈ Tera Term
Windows 운영체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료 터미널 에뮬레이터이고 주로 원격으로 다른 컴퓨터나 장치에 정속하고 제어하기 위해 사용을 한다.
총 네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1. 터미널 에뮬레이션: 다양한 터미널 프로토콜을 지원하고 SSH, Telnet, Serial, rlogin을 통해 원격 접속 가능하다.
2. 다양한 기능: Tera Term 다양한 기능 제공한다. 파일 전송 기능을 통해서 원격 장치와 파일을 주고 받을 수도 있고 마우스 이벤트를 지원하여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접근할 수 있게 한다.
3. 스크립트 지원: Tera Term은 Tera Term 매크로 언어를 사용해서 자동화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자동화된 테스트, 작업 흐름 자동화 등을 구현할 수가 있다.
4. 다국어 지원: 다양한 언어로 사용이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일본어와 영어를 지원하고 사용자 정의 언어 파일을 추가하여 다른 언어로도 사용할 수가 있다.
https://tera-term.softonic.kr/
Tera Term
개인 컴퓨터 용 오픈 소스 에뮬레이션 소프트웨어
tera-term.softonic.kr
Terminal에 대해서 대충 정리를 해봤지만 아직 전체적으로 정리가 안 된 느낌이 있다.
계속해서 정리하고 많이 사용을 해보면서 더욱 가독성이 좋고 심플하게 정리를 할 것이다.

'IT 관련 정보 전달 > IT 기본 지식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발자의 시작 (4) | 2023.10.17 |
---|---|
IT 기본적인 이론에 대하여 (4) | 2023.10.12 |